반응형 모의해킹/시스템해킹1 리버스쉘(Reverse) 바인드쉘(Bind) 커맨드쉘(Command) Shell 획득 넷캣(NetCat) 사용법 바인드쉘, 리버스쉘 모의해킹을 진행 할 때 접속을 시도하는 방향에 따라 리버스쉘과 바인드쉘로 나뉜다. 바인드쉘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방식으로, 서버에서 리스닝을 하고 있으면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는 형태이다. 구글사이트에 우리가 접속하는 구조(바인드쉘) 이와 반대로 리버스쉘은 클라이언트(해커)가 리스닝을 하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해커)쪽으로 접속하는 형태이다. 구글사이트가 사용자한테 접속하는 구조(리버스쉘) 해킹 시 리버스쉘을 사용하는 이유는 주로 방화벽때문이다. 우리가 사는 집의 도어락을 예시로 보자 가족을 제외하고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모르기 때문에 밖에서 집안으로 들어오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집안에서 밖으로 나가는건 도어락 버튼 하나로 쉽게 나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무에서도 외부에서 들어오는 .. 2023. 5.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