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로그인 시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etc/passwd 파일과 일치하는지 검증한다.
root 소유주의 644권한을 가진 일반파일이다.
passwd 파일 구조
root계정을 기준으로 보면
root:x:0:0:root:/root:/bin/bash
총 7개의 필드로 : 구분자로 구분한다.
각 필드의 의미는
1) root : 계정명
2) x : shadow 패스워드를 사용한다는 의미
- 즉, 평문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고 암호화 된 패스워드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3) 0 : 사용자 ID값 (UID)
- 시스템은 계정명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UID, GID 값을 확인하여 권한은 부여하고 식별한다.
그렇기때문에 계정명이 꼭 root가 아니더라도 UID , GID 값을 0으로 설정 한다면,
root의 권한과 동일한 권한을 갖게 된다.
4) 0 : 기본 그룹 ID (GID)
5) root : 사용자 관련 기타 정보 (코멘트)
6) /root : 사용자 홈 디렉터리
7) /bin/bash : 로그인 쉘
로그인 쉘은 /bin/sh, bin/csh, /bin/ksh 등이 있으며, 마지막 필드에 정의 되어있다.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id 명령어를 통해 현재 접속된 사용자의 UID , GID값 확인이 가능하다.
passwd 명령어를 통해서 사용자의 패스워드 변경이 가능한데,
일반 사용자의 경우 본인의 패스워드만 변경이 가능하고
root의 경우 모든 패스워드를 변경 할 수 있다.
# passwd (본인 패스워드 변경 시)
# passwd '계정명' (일반 사용자 패스워드 변경 시)
※ passwd 명령어 뒤에 계정명만 추가로 넣어주면 원하는 계정 패스워드를 변경 할 수 있다.
'인프라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crontab 사용법 및 cron.allow & cron.deny 접근제어 설정 (0) | 2023.04.21 |
---|---|
리눅스(LINUX) CentOS7 설치 가이드 VM 최소 설치 및 ISO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0) | 2023.03.11 |
리눅스(LINUX) 계정 그룹 추가 및 기본그룹과 보조그룹 개념 (0) | 2023.01.14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 6.8 64bit VM 설치 가이드 (0) | 2022.12.30 |
리눅스(LINUX) SELinux 영구 비활성화/임시 비활성화/종료 상태 확인 (0) | 2022.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