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7 본딩 설정 가이드
#cat /etc/redhat-release
메이저 버전마다 본딩 설정 방법이 조금씩 상이하므로
본딩 설정 전 리눅스 버전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
#ifconfig -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여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2개 확보(ens33, ens37)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pwd
#ls ifcfg-*
네트워크 본딩 설정을 하기 위해서
/etc/sysconfig/network-scripts 경로로 이동한다.
#cp ifcfg-ens33 ifcfg-ens37
#cp ifcfg-ens33 ifcfg-bond0
#ls ifcfg-*
기존에 존재하는 ifcfg-ens33 파일을
ifcfg-ens37 파일1개, ifcfg-bond0 파일1개 각각 복사 해준다.
(파일을 직접 생성해도 되지만, 오타가 있을 수 있으니 복사를 권장)
#vi ifcfg-ens33
먼저, ifcfg-ens33 파일을 수정한다.
DEVICE=ens33
NAME=ens33
BOOTPROTO=none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vi ifcfg-ens37
그 다음으로,
ifcfg-ens37 파일도 수정한다.
DEVICE=ens37
NAME=ens37
BOOTPROTO=none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vi ifcfg-bond0
마지막으로
ifcfg-bond0 설정 파일을 수정한다.
DEVICE=bond0
NAME=bond0
TYPE=Bond
IPADDR=[IP주소]
NETMASK=[서브넷마스크]
GATEWAY=[게이트웨이주소]
ONBOOT=yes
BOOTPROTO=none
BONDING_OPTS="mode=1 miimon=100"
bond0 설정 파일에
네트워크 정보들을 입력해줘야한다.(IPADDR, NETMASK, GATEWAY)
여기서 BONDING_OPTS에 있는 "mode=1"이 Active-Standby 구성이다.
말 그대로 ens33 인터페이스가 죽으면 ens37 인터페이스가 대신 서비스하는 구성이다.
#modprobe --first-time bonding
설정한 본딩 모듈을 적재하는 명령어이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ifconfig -a
bond0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올라왔는지 확인
bond0 - MASTER
ens33 - SLAVE
ens37 - SLAVE
#cat /proc/net/bonding/bond0
정상적으로 본딩설정이 되었는지 확인
Currently Active Slave : ens33
fail-over 테스트 시 ens33 인터페이스의 랜선을 제거 후
Currently Active Slave : ens37로 변경되는지 확인해 보거나
#ping 8.8.8.8
외부로 ping을 날린 뒤 ens33 랜선을 제거 후
ping이 몇개나 빠지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인프라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LINUX) 계정 그룹 추가 및 기본그룹과 보조그룹 개념 (0) | 2023.01.14 |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RHEL 6.8 64bit VM 설치 가이드 (0) | 2022.12.30 |
리눅스(LINUX) SELinux 영구 비활성화/임시 비활성화/종료 상태 확인 (0) | 2022.12.02 |
[LINUX] CentOS7 text, gui모드 변경 (0) | 2017.07.29 |
[LINUX] su 사용 제한 방법 (0) | 2017.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