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에서
핑과 트레이스는 중요한 한부분입니다.
그림에서처럼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을때,
라우터 C에서 라우터 A의 이더넷 172.70.100.1 으로
핑을 보내게 되면
RouterC# ping 172.70.100.1
이런방법을 '단순핑' 이라고 합니다.
단순핑 같은 경우는 목적지주소는 적어줄수 있으나
출발지주소는 정할수가 없습니다.
라우터C의 시리얼 203.210.200.2 로 고정이 되어있죠.
출발지 주소를 변경할수 있는 핑이
'확장핑' 입니다
그냥 ping 명령어를 치게되면
출발지주소, 목적지주소,Echo패킷의 수, 크기 등을
지정해줄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출발지, 목적지뿐만 아니라
중간에 거친 경로에 대한 정보랑 소요시간까지 볼 수 있는 것이
트레이스(Trace) 명령어 입니다.
트레이스 명령은 'TTL' (Time To Live)이란 것을 이용해서
경로 및 소요시간을 분석합니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라우터(Router) 모드 종류 및 모드 변경 명령어 (0) | 2023.04.08 |
---|---|
IP 위치 추적, 악성 이력 IP 평판 조회 사이트 (0) | 2023.03.17 |
[네트워크] 네트워크 STP(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0) | 2017.08.06 |
[네트워크] 이더넷과 토큰링 (0) | 2017.08.06 |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 (0) | 2017.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