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는 대표적으로
L2스위치, L3스위치, 라우터가 있다.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신하여 어디로 보낼지 결정해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L2스위치, L3스위치, 라우터는 사용하려는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구성에 꼭 라우터가 없어도 L3로 구성을 할 수 도 있고,
규모가 작은 네트워크라면 굳이 상위 스위치가 아닌 L2스위치로만도 구성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장비의 LAN케이블을 꼽을 포트 구멍이다.
포트와 인터페이스는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네트워크 장비의 인터페이스(포트) 끼리 연결한다.
이때, LAN케이블이 될 수도 있고, 광케이블이 될 수도 있고 연결 케이블은 다양하다.
반응형
'인프라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통신 언어 프로토콜 TCP/IP (0) | 2024.02.10 |
---|---|
네트워크 운용 논리 구성도 물리 구성도 (0) | 2024.02.03 |
클라우드 서비스 분류 Iaas / Paas / Saas (0) | 2024.01.13 |
네트워크 온프레미스 방식 클라우드 방식 개념 (0) | 2024.01.06 |
네트워크 TCP/IP 4가지 계층 주요 프로토콜 (0) | 2023.12.23 |
댓글